東洋 古典 한마디 31. 삼가자이옹철(三家者以雍徹)이려니
삼가자이옹철(三家者以雍徹)이려니 子曰 상유벽공(相維辟公)이어늘 천자목목(天子穆穆)을 해취어삼가지당((奚取於三家之堂)고
∙삼가에서 <제사를 마치고 ⌜詩經⌟의> 옹장을 노래하면서 철상(撤床)을 하였다. 공자께서 <이에 대하여> 말씀하셨다. “제후들이 제사를 돕거늘 天子는 엄숙하게 계시다.‘는 가사를 어찌해서 三家의 당(堂)에서 취해다 쓰는지?” 相: 도울 상(서로 상, 재상 상), 辟: 임금 벽(피할 피, 비유할 비, 그칠 미) 雍: 화할 옹
∙삼가는 魯나라 대부인 맹손(孟孫), 숙손(叔孫), 계손(季孫)의 세 집안이다. 철(撤)은 <시경의 ⟪주송(周頌)⟫의 편명이다. 철(撤)은 제사를 마치고 제기를 거두는 것이다. 천자의 종묘 제사에는 옹장(雍章)을 노래하면서 제기를 거두는 데, 이때 삼가에서 참람(넘쳐 지나치게)하게 이를 사용하였다. 상(相)은 돕는 것이고, 벽공(辟公)은 제후이다. 목목(穆穆)은 심원(深遠)하다는 뜻이니, 천자의 엄숙한 용모이다. 이것은 옹시(擁詩)의 가사인데 공자께서 인용하여 “삼가의 당에서는 이러한 일이 있지 않은데 또한 어찌 이 뜻을 취하여 노래하는가?”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이는 무지에서 망령되이 행동하여 참람히 도용한 죄를 취함을 기롱(실없는 말로 놀리다)하신 것이다.
∙程子가 말씀하셨다. “주공(周公)의 공이 진실로 크지만 모두 신하의 직분상 마땅히 해야 할 바이니, 노(魯 )나라 만이 어찌 홀로 천자의 예악을 쓸 수 있겠는가? 성왕(成王)이 <천자의 예악>을 준 것과 <주공 아들> 백금(伯禽)이 그것을 받은 것은 모두 잘못이다. 그 인습의 폐단이 마침내 季氏로 하여금 팔일무(八佾舞)를 참람하게 하였고, 三家로 하여금 옹시를 노래하면서 옹시를 노래하면서 제기를 거두게 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仲尼(공자)께서 기롱한 것이다.
∙八佾舞: 하늘로부터 천하를 지배하도록 명령을 받은 황제(天子)의 위상을 나타내는 군무이다. 가로 8명 세로 8명이(64名) 연주하는 궁중음악으로 天子에게만 연주된다. 제후는 육일무(36名), 大夫는 사일무(16名), 士는 이일무(4名)를 쓴다.
∙논어집주인용: 전통문화연구회편
∙사진은 네이버백과 자료에서 인용하였음.
삼가자이옹철(三家者以雍徹)이려니 子曰 상유벽공(相維辟公)이어늘 천자목목(天子穆穆)을 해취어삼가지당((奚取於三家之堂)고
∙삼가에서 <제사를 마치고 ⌜詩經⌟의> 옹장을 노래하면서 철상(撤床)을 하였다. 공자께서 <이에 대하여> 말씀하셨다. “제후들이 제사를 돕거늘 天子는 엄숙하게 계시다.‘는 가사를 어찌해서 三家의 당(堂)에서 취해다 쓰는지?” 相: 도울 상(서로 상, 재상 상), 辟: 임금 벽(피할 피, 비유할 비, 그칠 미) 雍: 화할 옹
∙삼가는 魯나라 대부인 맹손(孟孫), 숙손(叔孫), 계손(季孫)의 세 집안이다. 철(撤)은 <시경의 ⟪주송(周頌)⟫의 편명이다. 철(撤)은 제사를 마치고 제기를 거두는 것이다. 천자의 종묘 제사에는 옹장(雍章)을 노래하면서 제기를 거두는 데, 이때 삼가에서 참람(넘쳐 지나치게)하게 이를 사용하였다. 상(相)은 돕는 것이고, 벽공(辟公)은 제후이다. 목목(穆穆)은 심원(深遠)하다는 뜻이니, 천자의 엄숙한 용모이다. 이것은 옹시(擁詩)의 가사인데 공자께서 인용하여 “삼가의 당에서는 이러한 일이 있지 않은데 또한 어찌 이 뜻을 취하여 노래하는가?”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이는 무지에서 망령되이 행동하여 참람히 도용한 죄를 취함을 기롱(실없는 말로 놀리다)하신 것이다.
∙程子가 말씀하셨다. “주공(周公)의 공이 진실로 크지만 모두 신하의 직분상 마땅히 해야 할 바이니, 노(魯 )나라 만이 어찌 홀로 천자의 예악을 쓸 수 있겠는가? 성왕(成王)이 <천자의 예악>을 준 것과 <주공 아들> 백금(伯禽)이 그것을 받은 것은 모두 잘못이다. 그 인습의 폐단이 마침내 季氏로 하여금 팔일무(八佾舞)를 참람하게 하였고, 三家로 하여금 옹시를 노래하면서 옹시를 노래하면서 제기를 거두게 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仲尼(공자)께서 기롱한 것이다.
∙八佾舞: 하늘로부터 천하를 지배하도록 명령을 받은 황제(天子)의 위상을 나타내는 군무이다. 가로 8명 세로 8명이(64名) 연주하는 궁중음악으로 天子에게만 연주된다. 제후는 육일무(36名), 大夫는 사일무(16名), 士는 이일무(4名)를 쓴다.
∙논어집주인용: 전통문화연구회편
∙사진은 네이버백과 자료에서 인용하였음.